사진(1156)
-
둥굴레 열매와 비이슬
둥굴레 김 윤 현 살아가는 일에 자꾸만 모가 나는 날은 둥근 얼굴로 다소곳하게 고개 숙인 너에게로 살금살금 다가서고 싶다 더 둥글게 열려있지 못해 우리 사이에 꽃을 피우지 못했던 날을 생각하면 마음은 계곡처럼 깊게 파인다. 잎을 꽃처럼 달고 사랑을 기다려보지만 내게는 바람 부는 날이 더 많았다 아직 내 사랑에는 모가 나있는 날이 많아서 그렇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꽃을 잎처럼 가득 차려 두기 위해서는 내 사랑이 더 둥글어야 한다는 것도 안다 우리 서로 꽃으로 다가서기 위해서는 □둥굴레둥굴레는 비짜루과(아스파라거스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과분꽃이라고도 하며, 학명은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이다. 뿌리줄기는 원기둥꼴이며 굵고 긴 마디가 있고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
2024.05.14 -
금낭화(錦囊花)
금낭화권 달 웅 댕기 붉은 산새 한 마리울다 갔다. 그늘진 숲에서바람이 불 때마다붉은 입술에하얀 밥풀을 물고숨어 웃는 새 며느리 같은금낭화, 며느리밥풀주머니라는 이름을 달았다. □금낭화(錦囊花) 금낭화(錦囊花, bleeding-hearts) 양귀비목 현호색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산지의 돌밭이나 계곡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뱃돈을 받아 넣던 비단 복주머니 모양과 비슷하고, 금낭화의 꽃 속에 황금빛 꽃가루가 들어 있어 금주머니꽃이라는 뜻인 금낭화라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다. 그간 중국이 원산지라고 알려져 왔으나, 지리산, 설악산 같은 곳에서 자생지가 발견되어 토착식물이라는 주장도 있다. 등처럼 휘어지고, 모란처럼 꽃이 아름다워서 등모란 또는 덩굴모란이라 부르기도 하며, 꽃의 생김새가 옛 여인들이..
2024.05.12 -
단풍나무 꽃과 열매
자연율 권 달 웅오지에 가서 알았다.저절로 싹트고 피는 풀꽃을가랑잎 밟고 알았다.미물처럼 사람도 바스락거림을풀쐐기에 쏘이고 알았다.은자처럼 숨어사는 생명을풀벌레 울음 뚝 그치고 알았다.천적처럼 무서운 사람을아름드리 소나무 아래서 알았다.천년이 한결같은 바람 소리를풀꽃 지는 걸 보고 알았다.바람처럼 머물다 가는 사람을사람 없는 곳에서 알았다.달빛처럼 그리운 새소리를 □단풍나무단풍나무과로 학명은 아케르 팔마툼(Acer palmatum)갈잎큰키나무(높이 10m 정도) 개화기 : 5월 결실기 : 9-10월중부 이남의 산에서 자라며 관상수로도 많이 심는다. 나무껍질은 옅은 회갈색이고 어린 가지는 털이 없으며 녹색에서 홍자색으로 변한다. 겨울눈은 끝눈이 2개이며 눈 밑에 짧은 털이 조금 있다. 잎은 마주나고 ..
2024.05.09 -
애기똥풀
노란 애기똥풀 이 생 진 풀숲에 노란 꽃그것들은 노란 모자 쓴 유치원 아기들 같다나는 새소리를 듣는데노란 꽃, 저들은 무엇을 듣고 있을까나는 사십 년 전 일을 생각하고 있는데저들은 올봄에 태어났으니그만한 과거가 없어서인가바람에 머리를 흔든다어린애처럼 예쁘다나도 흙 속에 발을 묻고 싶다그러면 가는 뿌리가 나겠지머리 위에 노란 꽃이 피고노란 꽃들이 나를 보고 아는 척했으면 좋겠다우는 꽃이 보고 싶다정말 우는 꽃을 보면 어떻게 달래지나도 우는 수밖에 없지함께 울었으면 좋겠다줄기를 따면 노란 눈물이 난다입술에 대면 쓰다애기똥풀이 말하는 것 같다그 애는 혼자 놀고 있었다내가 보기엔 쓸쓸해 보였지만애기똥풀 그 노란 꽃 하고 놀고 있었다그 애는 어려서부터 꽃하고 놀길 좋아했으니성공한 셈이다 □애기똥풀애기똥풀은 양귀비..
2024.05.04 -
이팝나무 꽃
이팝나무박 희 자 덩치 큰 나무로그저시원한 그늘로그저내어주기만 하는 당신가슴 아린 배고픔에고봉쌀밥으로 피어나해마다 오월이면눈꽃송이로 단장하고내어주기만 하는 당신그저그렇게거기에 서 있습니다. □ 이팝나무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or Chinese Fringetree, 流蘇樹 liúsūshù)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대륙계 식물이자 잎지는 넓은잎 큰 키나무이다. 한국·타이·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이암나무·뻣나무라고도 한다. 남쪽지방에서는 정원수나 풍치수로 심는다. 목재는 건축 가구재로 쓰고 목부에서 염료를 추출한다. 높이는 20 미터에 달하고 가지는 회갈색이며 어릴 때 잔털이 약간 있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양 끝이 뾰족하다. 표면은 주맥에 흔히 털이 있고 ..
2024.05.01 -
노린재나무꽃
노린재나무꽃김 승 기 파아라니 맑은동심의 하늘 두 손에 받쳐 든솜사탕 폴폴 솟는달콤한 향내 푸르러 오르는산군침을 흘리다 쏟아놓는갈증 여기저기나뭇가지마다꽃으로 피는, 허옇게 들러붙은침 자국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는 진달래목 노린재나무과의 겨울에 잎이 지는 떨기나무이다. 한국·일본 원산으로 학명은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이다. 꽃말은 '동의'이다.노린재나무의 단풍 든 잎을 태우면 노란색 재가 남아서 '노린재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노란 잿물을 황회라 하는데, 지치와 같은 천연염료로 옷감을 노랗게 물들일 때 매염제로 썼기 때문에 황회목(黃灰木)이라고도 불린다.키는 2~5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회색이거나 회갈색이며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
2024.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