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천체/오늘의 천문학 사진(634)
-
용골자리 성운 북단(Carina Nebula North)
용골자리 성운 북단(Carina Nebula North) (2022. 1. 31) 이미지 제공 및 저작권: 로베르토 콜롬바 리 용골 대성운은 이상한 별들과 상징적인 성운들이 있다. 별자리의 이름을 딴 이 거대한 별 형성 지역은 오리온 대성운보다 더 크고 밝지만, 남쪽 멀리 있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인류의 대부분이 북쪽 멀리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 사진은 용골자리 성운의 최북단 부분을 매우 상세하게 보여준다. 볼 수 있는 성운으로는 왼쪽 끝에 있는 활동적인 볼프-레이에 23(WR23) 별을 둘러싸고 있는 반원형의 필라멘트가 있다. 중앙의 바로 왼쪽에는 작은 산개성단(NGC 3324)을 둘러싸고 있는 발광 가스의 방출 성운(IC 2599)으로 구성된 가브리엘라 안스트랄 성운이 있다. 사진 중앙 위에는 ..
2022.01.31 -
SOHO 위성이 찰영한 태양 홍염(A Solar Prominence from SOHO)
SOHO 위성이 촬영한 태양 홍염(A Solar Prominence from SOHO) (2022. 1. 30) 이미지 제공: NASA, ESA, SOHO-EIT 컨소시엄 어떻게 가스가 태양 위에 뜰 수 있나요? 태양의 표면에서 아치형으로 휘어져 꼬인 자기장은 이온화된 가스를 가두어 거대한 고리 구조로 매달릴 수 있다. 이 장엄한 플라스마 아치는 태양 가장자리 위의 홍염으로 보인다. 1999년, 이 극적이고 상세한 사진은, 우주 기반 태양 및 태양권 관측(SOHO) 위성에 탑재된 극자외선 이미징 망원경(EIT)으로 이온화된 헬륨에서 방출되는 빛을 촬영하였다. 그것은 불타는 홍염이 태양의 10만 킬로미터 상공에서 자기장으로부터 벗어나면서, 뜨거운 플라스마가 우주로 빠져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놀라운 사..
2022.01.31 -
화로자리 은하단(The Fornax Cluster of Galaxies)
화로자리 은하단(The Fornax Cluster of Galaxies) (2022. 1. 29) 이미지 제공 및 저작권: Marco Lorenzi, Angus Lau, 대부분의 은하가 발견되는 남쪽 별자리의 이름을 딴 화로자리 성단은 가장 가까운 은하단 중 하나이다. 약 6,2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있으며, 우리의 이웃 안드로메다 은하보다 거의 20배 더 멀리 떨어져 있고, 더 잘 알려져 있고 더 풍부한 처녀자리 은하단보다 약 10% 정도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이 2도 너비의 시야에서 볼 수 있듯이, 사진의 거의 모든 노란색 반점은 화로자리 은하단에 있는 타원은하이다. 타원은하 NGC 1399와 NGC 1404는 왼쪽 위 방향에 있는 밝은 성단 구성원이다(단, 뾰족한 전경의 별들은 그렇지 않다). ..
2022.01.30 -
서쪽 달, 동쪽 바다(Western Moon, Eastern Sea)
서쪽 달, 동쪽 바다(Western Moon, Eastern Sea) (2022. 1. 28) 이미지 제공 및 저작권: 톰 글렌 라틴어로 동쪽 바다를 뜻하는 마레 오리엔탈레(Mare Orientale)는 가장 큰 규모의 달 지형 중 하나이다. 달 표면 대형 충돌 분지 중 가장 어린 것은 지구의 각도에서는 보기가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 앞면이 적절히 기울어지거나 칭동하는 시기에 촬영된, 동쪽 바다가 달의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 극도로 짧아진, 이 선명한 망원경 사진 상단 중앙 부근에서 발견된다. 약 30억 년 전 소행성의 충돌로 형성되었으며, 거의 1000km에 달하는 충돌 분지의 동심원은 달 지각에 잔물결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그것들은 달 궤도 우주선에서 촬영된 지역의 직접적인 사진에서 더..
2022.01.29 -
오리온 성운 남쪽(South of Orion)
오리온 성운 남쪽(South of Orion) (2022. 1. 27) 이미지 제공 및 저작권: 비카스 챈더 오리온 성운으로 알려진 큰 별 형성 지역의 남쪽에는 밝은 푸른 반사 성운 NGC 1999가 있다. 약 1,500광년 떨어진 오리온 자리 분자 구름 복합체의 가장자리에 있는 NGC1999를 밝히는 광원은 내장된 변광성 V380 오리온자리(V380 Orionis)이다. 이 성운은 하늘의 약 2개의 보름달 너비로 이 망원경 풍경의 한가운데에 가로 방향의 검은 T자형으로 표시 되어 있다. 그 검은 모양은 한때 실루엣에서 보이는 불분명한 먼지 구름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적외선 자료에 따르면 이 모양은 활기찬 젊은 별들이 성운 자체를 뚫고 나온 구멍일 가능성이 높다. 사실, 이 지역은 제트를 생성하고 빛나..
2022.01.28 -
어느 날 새벽 안개 속의 일출
누가 가르쳐 주었을까 하 청 호 비 오는 날 연잎에 빗물이 고이면 가질 수 없을 만큼 빗물이 고이면 고개 살짝 숙여 또르르 또르르 빗물을 흘려보내는 것을 누가 가르쳐 주었을까 가질 만큼 담는 것을. 태양계의 모든 것을 지배하는, 나이 46억 년의 항성 태양은 거대한 가스 덩어리이다. 주 성분은 수소 70%, 헬륨 30% 미만이며, 탄소, 질소, 산소 등은 0.1%를 차지한다. 이들 원소는 고온이기 때문에 원자에서 전자가 떨어져 나와(전리), 전자와 원자핵이 흩어진 플리스 마 상태로 되어 있다. 중심부에서는 수소가 혤륨에 융합되어 원자핵 에너지가 생기는 핵융합 반응이 진행된다. 이 에너지는 '광구'라는 태양의 표층(두께 약 400km)까지 운반되고, 가시광선 등의 전자기파로 밖으로 방출된다. 이것이 우리가..
2022.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