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3. 3. 10:05ㆍ좋은 글/좋은 글
심우도(尋牛圖)’의 의미
사찰에 가면 법당 벽화로 심우도를 볼 수 있다. 낙산사의 고향당, 백담사의 극락보전에도 심우도를 찾아볼 수 있다. 사찰을 찾을 때 반드시 이 심우도의 의미를 살려보는 것도 탐방의 의미를 더욱 살릴 수 있다. 심우도의 의미를 설악불교에 실린 글을 통해 살펴본다.
소는 도가에서는 유유자적, 유가에서는 의(義)를 상징했지만 불가에서는 ‘인간의 본래 자리’를 의미했다. 수행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비유한 ‘심우도’가 이 같은 의미를 대표적을 보여준다.
그만큼 소는 다른 그 어떤 동물보다 불자와 친숙하다. 대부분의 법당 벽화에 ‘심우도’가 그려져 있고, 불경 곳곳에 소를 비유한 상징들이 들어 있다.
선사들도 이러한 소를 수행의 채찍으로 삼아왔다. 고려때의 보조국사 지눌은 호를 목우자(牧牛子)라 했다. ‘소를 기르는 사람’ 즉 참다운 마음을 다스리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만해 한용운 선사도 만년에 서울의 자택을 심우장(尋牛莊)이라 했다. ‘불성을 찾기에 전념하는 곳’이란 의미가 담겨 있었다.
‘심우도’는 동자와 소를 등장시켜 참선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과정을 묘사한 그림으로 이때 소는 인간의 진면목인 불성(佛 性)을 의미한다. 수행단계를 10단계로 나누어 표현하기 때문에 ‘십우도(十牛圖)’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심우도는 중국 송나라 때 보명(普明) 스님의 심우도와 확암스님의 십우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까지는 이 두 종류의 그림이 함께 그려졌으나 최근에는 확암스님의 십우도가 법당벽화로 주로 그려지고 있다.
심우도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 심우(尋牛) 처음에 사람이 들에서 소를 찾는 모습으로 처음 발심한 수행자가 사람에게 본래부터 갖춰진 원성 (圓成)인 심우(心牛)를 잃어버린 뒤 그것을 찾는 것. ● 견적(見跡) 소 발자국을 발견한 것을 묘사한 것으로서 순수한 열의를 가지고 꾸준히 공부를 하다 보면 본성 의 자취를 어렴풋이 느끼게 된다는 것.
● 견우(見牛) 수행자가 멀리서 소의 모습을 어렴풋이 본 것을 묘사한 그림으로 문법수학(聞法修學)의 공(空) 에 의해 마음의 소를 발견한 것을 상징화하는 불화.
● 득우(得牛) 동자가 소를 붙잡아서 막 고삐를 낀 모습으로 아직 번뇌와 망상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으므로 더 더욱 열심히 수행전진해야 함을 표현한 것.
● 목우(牧牛) 소에 고삐를 물리고 돌아오는 모습으로 삼독의 때를 지우는 보임(保任)의 단계, 즉 깨달음 뒤에 오는 방심을 더욱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경책 한 것. ● 기우귀가(騎牛歸家) 동자가 소를 타고 피리를 불며 돌아오는 모습으로 드디어 망상에서 벗어나 본성의 자리 에 들었으므로 피안의 세계에 나아가게 된다는 것.
● 망우존인(忘牛存人) 집에 돌아왔지만 소는 간데없고 오직 자기 혼자만 남아있음을 묘사, 즉 본각무위(本覺 無爲)로 들어왔으나 쉬지 않고 수련해야 한다는 뜻. ● 인우구망(人牛俱忘) 자가자신도 잊어버린 상태를 묘사한 텅 빈 원만상. 주객분리 이전 상태로 정(情)을 잊고 세상의 물(物)을 버려 공(空)의 세계에 이르렀음을 나타낸 것. ● 반본환원(返本還源) 티끌 하나도 없는수록산청(水綠山靑)의 광경으로 사람의 본심은 본래 청정하여 아무 번뇌가 없어 산은 산대로 물은 물대로 보게 된 것. ● 입전수수(入전垂手) 큰 포대를 메고 사람들이 많은 곳으로 가는 모습. 중생들에게 복과 덕을 베풀어 불교의 궁극적인 뜻이 중생의 제도에 있음을 상징.
< 설악불교 창간호, (97년 1,2월)에서 >
'좋은 글 >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꽃 사랑 이야기 (0) | 2009.05.03 |
---|---|
본능의 저편 언덕, 들꽃이 있는 곳을 바라보며 (0) | 2009.04.30 |
연꽃과 수련의 비밀은? (0) | 2009.03.03 |
연꽃의 지혜 (0) | 2009.03.03 |
송광사 승보전의 심우도 (0) | 2009.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