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구례 화엄사 화엄매(求禮 華嚴寺 華嚴梅)

2011. 4. 14. 07:33나를 찾아 걷는 길/探梅 -매화를 찾다

천연기념물 -  구례 화엄사 화엄매(求禮 華嚴寺 華嚴梅)

   

□구례 화엄사 각황전 옆 홍매화

우리나라 고매 중 가장 색이 붉은 홍매다. 붉다 못해 검붉어서 흑매(黑梅)라 부르기도 한다. 작은 홑꽃이며 드물게 달리고 향이 짙으며, 수령은 약 300-400년으로 추정하고 있다. 장륙전이 있던 자리에 조선 숙종 때 각황전을 중건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계파(桂波) 선사가 심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장육화(丈六花)라고도 한다.

각황전과 홍매화

 

화엄사 홍매화

정 범 효

 

물 한 모금

공기 한 줌

알뜰히도 끌어모아

 

일 년도 아닌

삼백여 년을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 하는 저 모습

 

가진 것 모두를

아낌없이 내어 주는

허리 굽은 울 엄마를 너무나 닮아있다

 

아침 예불 범종 소리

꽃잎에 담고

법당의 염불 소리 향낭에 담아

 

폭설은 폭설대로

바람 불면 부는 대로

한 자리 가부좌 틀고 고행 중

 

가지마다 꾸불꾸불

편하게 뻗은 가지 하나 없는

화엄사 홍매화

 

송이송이 꽃잎마다

팔만 사천 법문 담아

야단법석() 펼치건만,

 

법문은 듣지 않고

장륙화니 흑매화니

무지한 중생들은 꽃 타령만 하는구나

 

화엄사 각황전 옆 홍매-우리나라 고매 중 가장 색이 붉은 홍매다. 붉다 못해 검붉어서 흑매(黑梅)라 부르기도 한다. 나무높이 8.2m, 가슴높이 둘레 1.6m이다.

 

붉은 색의 꽃색과 줄기와 가지가 굴곡을 이루며 위아래로 자라는 독특한 수형이 화엄사 각황전과 어우러져 역사적, 경관적 가치가 높다. 화엄사 산내암자 길상암 앞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들매화가 전반적으로 수세가 저하되고 있어 각황전 옆 홍매화를 2024년1월24일 천연기념물로 추가 지정하였다.

 

원통전 앞 사자탑 뒤의 홍매화

 

 

 

□구례 화엄사 산내암자 길상암 앞 들매화(野梅)

화엄사 길상암 앞 연못가 대나무 숲에 싸여 자라고 있는 백매이다. 매화나무는 중국이 원산지로서 우리가 심어 가꾸는 대부분은 꽃이 예쁜 품종을 골라 접붙임으로 번식을 시킨다. 그러나 이 매화나무는 속칭 들매화(野梅)로 알려져 있는데 사람이나 동물이 매실의 과육을 먹고 버린 씨앗이 싹이 터서 자란 나무로 짐작되기 때문이다. 이런 들매화는 꽃과 열매가 재배 매화보다 작으나, 꽃향기는 오히려 더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수령 약 450년으로 추정되는 야매다.

화엄사 산내 암자 길상암 앞 연못가 대나무 숲에 싸여 자라고 있는 백매이다. 속칭 들매화(野梅)로 알려져 있다. 수령 약 450년으로 추정하고 있다.
화엄사 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들매화
근접 촬영한 들매화

 

 

천연기념물

구례 화엄사 화엄매 (求禮 華嚴寺 華嚴梅)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특수성

수량/면적 : 2주/ 614㎡

지정(등록) 일 : 2007.10.08

소재지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산 20-1번지

소유자(소유단체) : 대한불교조계종 화엄사 

관리자(관리단체) : 구례군

 

화엄사 길상암 앞 급경사지의 대나무 숲 속에 자라는 나무이다. 원래 4그루가 있었으나 3그루는 죽고 한그루만 남았다. 매화나무는 중국이 원산지로서 우리가 심어 가꾸는 대부분은 꽃이 예쁜 품종을 골라 접붙임으로 번식을 시킨다. 그러나 이 매화나무는 속칭 들매화(野梅)로 알려져 있는데 사람이나 동물이 매실의 과육을 먹고 버린 씨앗이 싹이 터서 자란 나무로 짐작되기 때문이다. 이런 들매화는 꽃과 열매가 재배 매화보다 작으나, 꽃향기는 오히려 더 강한 것이 특징을 가지고 있어 학술적 가치가 큼.
홍매화는 나무높이 8.2m, 가슴높이 둘레 1.6m로 매실나무로는 규모가 큰 편이고 붉은색의 꽃색과 줄기와 가지가 굴곡을 이루며 위아래로 자라는 독특한 수형이 화엄사 각황전과 어우러져 역사적, 경관적 가치가 높음.
따라서, 화엄사 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들매화가 전반적으로 수세가 저하되고 있어 각황전 주변 홍매화를 추가 지정하여 화엄사 사찰의 대표적인 식생 경관으로 안정적으로 보존, 관리하고자 함.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