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천체/오늘의 천문학 사진(634)
-
NGC 6559:석호 성운의 동쪽(NGC 6559: East of the Lagoon)
NGC 6559:석호 성운의 동쪽(NGC 6559: East of the Lagoon) (2021. 10. 7) 석호 성운(Lagoon Nebula)의 동쪽으로 망원경을 움직여 우리 은하의 중심 궁수자리에 있는 별들이 총총한 이 매혹적인 시야를 찾으세요. 물론 석호 성운은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의 유명한 밝은 성운과 성단 목록에 있는 8번째 천체인 M8로도 알려져 있다. M8보다는 약간 희미하게 보이지만, 하늘에서는 가까운 이 복합 성운은 메시에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오른쪽 별 형성 영역 NGC 6559의 불투명한 먼지, 인상적인 붉은 방출 성운, 푸른 반사 성운이 포함돼 있다. NGC 6559는 M8과 마찬가지로 큰 분자 구름의 가장자리를 따라 약 5,000광년 거리에 있다. 그 거..
2021.10.09 -
오리온의 흐름(M43: Streams of Orion)
오리온의 흐름(M43: Streams of Orion) (2021. 10. 6) 오리온 성운의 검은 먼지 흐름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오리온자리 분자 구름 복합체 M43의 이 부분은, 더 유명한 M42의 이웃으로 종종 촬영되지만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M42에는 트라페지움(Trapezium) 성단의 밝은 별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M43은 그 자체가 별 형성 지역으로, 실제로 대부분이 빛나는 수소 가스로 구성되어 있지만, 복잡하게 얽힌 검은 먼지 흐름을 보여준다. 오리온자리 전체는 약 1600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다. 가시광선에 불투명한 이 그림 같은 검은 먼지는 거대한 차가운 별들의 외부 대기에 생성되고 양성자와 전자의 강한 외부 바람에 의해 방출된다. 이미지 크레딧 & 저작권: Jari Saukk..
2021.10.08 -
남극의 일출(Sunrise at the South Pole)
남극의 일출(Sunrise at the South Pole) (2021. 10. 5) 남극의 일출은 다르다. 여러 달 동안의 어둠에 이어, 여러 달 동안의 햇살을 시작하는 극지의 일출은 일반적으로 반가운 장면이다. 지구의 극지방에서는 태양이 떠오르는데, 중위도 지역의 몇 시간과는 대조적으로 몇 주가 걸릴 수 있다. 극지에서의 일출은 지구의 자전에 의한 것이 아니라 태양을 공전할 때 지구의 기울기에 의해 발생한다. 극지에서 공기가 없는 지구는 분점(equinox)에 첫 번째 태양을 볼 수 있지만, 지구 대기의 렌즈 효과와 태양 원반의 크기로 인해 태양의 맨 위를 약 2주 일찍 나타나게 한다. 2주 전 사진에서 태양은 지구의 남극에 있는 광대한 얼어붙은 풍경의 지평선 위로 살짝 보인다. 지리적 남극점은 통신..
2021.10.06 -
생쥐 은하가 충돌할때(NGC 4676: When Mice Collide)
생쥐 은하가 충돌할 때(NGC 4676: When Mice Collide) (2021 October 4) 이 두 거대한 은하들은 서로를 잡아당기고 있다. 긴 꼬리를 가지고 있어 "생쥐"라고 알려진, 각각의 나선 은하는 이미 다른 은하를 통과했을 것이다. 긴 꼬리는 각 은하의 가까운 부분과 먼 부분에 작용하는 중력의 상대적 차이에 의해 생성된다.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우주적 상호작용은 수억 년에 걸쳐 느린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NGC 4676은 베르니체의 머리털 별자리(머리털자리) 방향으로 약 3억 광년 떨어져 있으며, 머리털자리 은하단의 일원일 가능성이 높다. 위의 사진은, 2002년 허블 우주망원경의 첨단 탐사카메라로 촬영되었다. 이 은하 생쥐들은 아마도 앞으로 10억 년 동안 계속해서 충돌할 것..
2021.10.04 -
석호에서 파이프로 이어지는 중앙 은하수(The Central Milky Way from Lagoon to Pipe)
석호에서 파이프까지의 중앙 은하수(The Central Milky Way from Lagoon to Pipe) (2021. 10. 1) 이 별의 풍경에는 어두운 무늬와 다채로운 구름들이 점유하고 있다. 깊고도 광대한 풍경은 우리 은하 중심을 향해 총총한 별밭에 30개 이상의 보름달 너비로 펼쳐져 있다. 천문학자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E. E. Barnard)가 20세기 초에 목록에 올렸던 이 어두운 성간 먼지 구름은 B59, B72, B77, B78로, 불과 450광년 거리에 있는 뱀주인자리 분자 구름 복합체의 일부이다. 눈으로 보기에 이 성간 먼지 구름들의 결합된 모양이 담배 파이프 손잡이와 통을 닮아, 파이프 성운(Pipe Nebula)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왼쪽에 모인 3개의 밝은 성운은 궁..
2021.10.04 -
황도광 밤(A Light and Dusty Night)
황도광 밤(A Light and Dusty Night) (2021. 10. 2) 찬란한 저녁별처럼 보이는 금성이 남반구 서쪽 지평선 근처에 있는, 이른 봄 밤하늘 풍경이다. 9월 25일 브라질 남부의 카스카벨(Cascavel)에서, 하늘은 추적하고 지상은 고정된 합성 풍경 사진을 만들기 위해 촬영되었다. 일몰 후의 모습에서 금성은 태양계의 황도면을 따라 먼지에서 태양광이 산란하고 있는 원뿔형 황도광에 잠겨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사실, 행성 지구의 어느 반구에서도, 황도광은 춘분 근처에서 일몰 후(또는 추분 근처에서 일출 전) 황도광이 지평선에 가파른 각도로 놓여 있을 때 가장 잘 보인다. 황도광은 이날 밤 일몰 위로 퍼져 은하수 중심 팽대부에 있는 풍부한 별들과 광대한 성간 먼지 구름을 향해 뻗어가고 있..
2021.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