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4: 거대 오징어 성운(Ou4: The Giant Squid Nebula)

2022. 10. 13. 23:01천문, 천체/오늘의 천문학 사진

 

Ou4: 거대 오징어 성운(Ou4: The Giant Squid Nebula)

(2022. 10. 12)

사진 출처 및 저작권: 토미 리스

 

신비스러운 오징어처럼 생긴 우주 구름인 이 성운은 행성 지구의 하늘에서 매우 희미하나, 매우 크기도 하다. 30시간의 협대역 이미지 데이터로 합성한 이 사진에서, 왕실 별자리 세페우스자리(Cepheus) 방향에 거의 세 개의 보름달 크기로 걸쳐 있다. 2011년 프랑스의 천문 사진작가 니콜라스 아우터스(Nicolas Outters)가 발견한 오징어 성운의 양극 형상은 이중 이온화된 산소 원자에서 나오는 청록색 발광으로 구별된다. 불그스름한 수소 방출 영역 Sh2-129로 둘러싸여 있지만 오징어 성운의 실제 거리와 성질을 알아내기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최근의 조사에 따르면 Ou4는 실제로 약 2,300광년 떨어진 Sh2-129 내에 있다. 이 각본과 일치하게, 우주 오징어는 성운의 중심 근처에서 볼 수 있는 HR8119로 분류되는 뜨겁고 무거운 별의 삼중계에 의해 움직이는 물질의 놀라운 유출을 나타낸다. 만약 그렇다면, 정말로 거대한 오징어 성운의 직경은 물리적으로 50광년 이상이 될 것이다.

 

원문 :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2022 October 12

Ou4: The Giant Squid Nebula
Image Credit & Copyright: Tommy Lease

Explanation: A mysterious squid-like cosmic cloud, this nebula is very faint, but also very large in planet Earth's sky. In the image, composed with 30 hours of narrowband image data, it spans nearly three full moons toward the royal constellation Cepheus. Discovered in 2011 by French astro-imager Nicolas Outters, the Squid Nebula's bipolar shape is distinguished here by the telltale blue-green emission from doubly ionized oxygen atoms. Though apparently surrounded by the reddish hydrogen emission region Sh2-129, the true distance and nature of the Squid Nebula have been difficult to determine. Still, a more recent investigation suggests Ou4 really does lie within Sh2-129 some 2,300 light-years away. Consistent with that scenario, the cosmic squid would represent a spectacular outflow of material driven by a triple system of hot, massive stars, cataloged as HR8119, seen near the center of the nebula. If so, this truly giant squid nebula would physically be over 50 light-years acro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