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8. 28. 07:51ㆍ사진/국토종단길 풍경
역동(易東) 우탁(禹倬, 1263~1342)은 늙음을 한탄한 주제를 담고 있는 탄로가(嘆老歌) 세 수(首)를 남겼다.
춘산(春山)에 눈 녹인 바람 건듯 불고 간데없다
잠시만 빌려다가 머리 위에 불게 하여
귀 밑에 해묵은 서리를 녹여볼까 하노라.
한 손에 가시 쥐고 또 한 손에 막대 들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늙지 말고 다시 젊어져 보려했더니
청춘이 날 속이고 백발이 다 되었구나
이따금 꽃밭을 지날 때면 죄지은 듯하여라.
□단양 사인암
단양 사인암은 단양팔경의 하나로 단양읍에서 남쪽 8㎞ 지점인 대강면 사인암리에 있다. 남조천(일명 운계천) 강변을 따라 화강암으로 구성된 지반 가장자리에 석회암으로 된 암석이 병풍모양의 수직절리를 형성하고 있는데, 그 풍광이 아름다워 2008년에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단양 사인암은 단양팔경의 하나로 단양읍에서 남쪽 8㎞ 지점인 대강면 사인암리에 있다. 남조천(일명 운계천) 강변을 따라 화강암으로 구성된 지반 가장자리에 석회암으로 된 암석이 병풍모양의 수직절리를 형성하고 있는데, 그 풍광이 아름다워 2008년에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사인암은 수직·수평의 절리 면이 마치 수많은 책을 쌓아 놓은 모습을 하고 있어 유래한 지명이라고 한다. 또 고려시대 역동(易東) 우탁(禹倬, 1263~1342)이 사인(舍人)으로 재직할 때 이곳에서 머물렀다는 사연이 있어, 조선 성종 때 단양군수로 부임한 임재광이 사인암이라 명명했다고 하기도 한다.
경사에 정통하고 역학에 해박했던 우탁은 정주학(程朱學)이 처음 들어왔을 때 아무도 이를 아는 사람이 없자 한 달 동안 연구하고 해독하여, 비로소 성리학에 능통했다고 한다.
이렇게 되자 중국의 학자들이 중국의 역이 동으로 옮겨 가게 되었다고 하여 우탁을 역동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암벽에는 우탁의 친필각자가 있으며, 인근에는 1977년 지방의 유림들이 건립한 역동우탁기적비가 서 있다.
사인암을 끼고 굽이져 흐르는 계곡을 운선구곡이라 하는데 사인암은 그중 제7곡에 해당된다. 사인암 가까이에는 단양 8경 중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을 잇는 삼선구곡도 위치하고 있다. 사인암의 바위 정상에는 소나무들이 아름다운 모습으로 우뚝 솟아 있다. 또, 수직절벽의 바위틈에도 마치 분재와 같은 소나무가 자라고 있어 사인암의 석벽과 조화를 이룬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