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C 6357: 바닷가재 성운(NGC 6357: The Lobster Nebula)

2022. 11. 4. 10:41천문, 천체/오늘의 천문학 사진

 

NGC 6357: 바닷가재 성운(NGC 6357: The Lobster Nebula)

(2022. 11. 1)

사진 출처 : CTIO/NOIRLab/DOE/NSF/AURA; 처리: T.A. 렉터(U. 알래스카 앵커리지/NSF의 NOIRLab), J. 밀러(제미니 옵스/NSF의 NOIRLab), M. 자마니 D. 마틴(NSFIRLA

 

바닷가재 성운(Lobster Nebula)이 알려진 가장 거대한 별이 탄생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직 아무도 확신할 수 없다. NGC 6357로 분류된 바닷가재 성운은 중심부에 있는 산개성단 피스미스 24(Pismis 24)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 성운은 유난히 밝고 거대한 별들이 있는 곳이다. 내부 별 탄생 영역 근처의 전체적인 붉은빛은 이온화된 수소 가스의 방출로 인해 발생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주변 성운에는 가스, 어두운 먼지, 여전히 형성되는 별, 그리고 새로 태어난 별들로 이루어진 복잡한 직물 공예(tapestry)가 있다. 복잡한 패턴은 성간 바람, 복사 압력, 자기장, 중력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이 사진은 칠레의 세로 톨롤로 인터-아메리칸 천문대(Cerro Tololo Inter-American Observatory)에 있는 4미터 블랑코( Blanco) 망원경에 있는 DOE의 다크 에너지(DOE's Dark Energy) 카메라로 촬영되었다. NGC 6357은 전갈자리 방향으로 약 8000광년 떨어져 있다.

 

원문 :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2022 November 1

NGC 6357: The Lobster Nebula
Image Credit: CTIO/NOIRLab/DOE/NSF/AURA; Processing: T. A. Rector (U. Alaska Anchorage/NSF’s NOIRLab), J. Miller (Gemini Obs./NSF’s NOIRLab), M. Zamani & D. de Martin (NSF’s NOIRLab)

Explanation: Why is the Lobster Nebula forming some of the most massive stars known? No one is yet sure. Cataloged as NGC 6357, the Lobster Nebula houses the open star cluster Pismis 24 near its center -- a home to unusually bright and massive stars. The overall red glow near the inner star forming region results from the emission of ionized hydrogen gas. The surrounding nebula, featured here, holds a complex tapestry of gas, dark dust, stars still forming, and newly born stars. The intricate patterns are caused by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interstellar winds, radiation pressures, magnetic fields, and gravity. The image was taken with DOE's Dark Energy Camera on the 4-meter Blanco Telescope at the Cerro Tololo Inter-American Observatory in Chile. NGC 6357 spans about 400 light years and lies about 8,000 light years away toward the constellation of the Scorpion.